Etc: POST 방식 vs. GET 방식
HTTP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는 GET 방식과 POST 방식이 있다. 이 두 방식의 차이점을 이해하면 웹 개발을 하며 HTTP 요청을 다룰 때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GET 방식
GET 방식은 URL에 데이터를 붙여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URL의 길이는 브라우저마다 제한되어 있으며 대체로 2,048바이트 이하이다. 그러므로 GET 방식은 데이터 양이 적은 상황에서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페이지나 게시판 목록 페이지가 이에 해당한다.
GET 방식의 장점은 브라우저에서 캐싱을 통해 요청한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동일한 요청이 있을 때 캐시된 데이터를 가져와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다. 또한 요청이 반복될 때마다 동일한 결과를 보장한다. 이는 “idempotent”라는 속성으로, 동일한 GET 요청이 서버에 반복 전송되어도 서버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POST 방식
반면, POST 방식은 요청의 Body에 데이터를 넣어 전송하는 방식이다.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으며, 데이터 양의 제한이 없다. 이 방식은 대표적으로 로그인 정보나 게시글 등을 작성할 때 사용된다.
POST 방식의 단점은 요청이 반복될 때마다 서버의 상태를 변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idempotent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POST 요청을 반복하면 예기치 않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또한 POST 방식은 캐싱이 불가능하다. 이는 요청이 일회성이므로 브라우저는 반드시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GET 방식보다는 속도가 느리다.
결론
GET 방식과 POST 방식은 각각 데이터를 가져오는 용도와 데이터를 변경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개발자는 이 둘의 차이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Comments